본문 바로가기
Meta's story

임시공휴일 근무수당 시급제 월급제 계산법

by 메타아레나 2025. 1. 8.

2025년 1월 27일 임시공휴일로 지정되어, 설 연휴가 총 6일로 연장 되었습니다. 연휴에도 일하시는 분들이 계실 텐데요. 임시공휴일에 근무를 하게 되면, 근로자는 추가적인 근무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.

 

이는 근로기준법에 따라 근로자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, 임시공휴일이 공휴일로 지정된 경우에도 근무를 해야 한다면 별도의 수당이 지급됩니다. 이제 임시공휴일 근무수당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
👉 통상임금 계산기 바로가기 GO->>

임시공휴일 근무수당이란?

임시공휴일은 정부가 특별히 지정하는 공휴일로, 법정공휴일과는 구분됩니다. 하지만 정부가 공식적으로 임시공휴일을 선포하면 해당 날도 근로자에게 휴무일로 적용됩니다. 이 날 근무를 해야 할 경우, 근로자는 추가적인 임금을 지급받을 권리가 있습니다.

 

임시공휴일에 근무했을 때 지급되는 수당은 근로기준법 제56조에 따라 연장근로 또는 휴일근로로 간주되어 지급됩니다. 이 수당은 통상임금의 150% 이상이며, 이는 법적으로 보장된 금액입니다.


임시공휴일 근무수당 계산 방법

임시공휴일 근무수당은 통상임금을 기준으로 계산합니다.

  • 통상근로수당(100%) + 휴일근로수당(50%) = 총 150%
  • 8시간 초과 근무 시: 추가로 연장근로수당(50%)이 더해져 200% 지급

예를 들어, 하루 통상임금이 10만 원인 근로자가 임시공휴일에 8시간 근무를 했다면, 15만 원의 근무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. 만약 10시간 근무했다면 추가로 연장근로수당 2만 원이 더해져 총 17만 원을 지급받게 됩니다.


휴일근로 수당 산출 방법

월급제 근로자의 경우

  • 8시간 이하 근무
    통상 임금의 150%를 지급
    (해당일의 근로 수당 100% + 휴일가산수당 50%)
  • 8시간 초과 근무
    통상 임금의 200%를 지급
    (해당일의 근로 수당 100% + 휴일가산수당 100%)

월급제 근로자는 유급휴일 임금이 이미 월급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산출식에는 해당일의 근로 수당만 포함됩니다.


시급제 근로자의 경우

  • 8시간 이하 근무
    통상 임금의 250%를 지급
    (해당일의 근로 수당 100% + 유급휴일수당 100% + 휴일가산수당 50%)
  • 8시간 초과 근무
    통상 임금의 300%를 지급
    (해당일의 근로 수당 100% + 유급휴일수당 100% + 휴일가산수당 100%)

통상 임금 산출법

통상 임금은 다음과 같이 계산합니다.

통상 시급 x 근무 시간


임시공휴일임시공휴일임시공휴일

임시공휴일 수당 계산 예시

월급제 근로자 예시

  1. 월급: 2,800,000원
    통상 시급: 13,397원 (월급 ÷ 209시간 기준)
  2. 7시간 근무한 경우
  • 산출식: 통상 임금의 150%
  • 계산: (13,397 X 7시간) X 150%
  • 지급 수당: 140,669원
  1. 9시간 근무한 경우
  • 산출식: [8시간 통상 임금의 150%] + [1시간 초과근무 통상 임금의 200%]
  • 계산: [(13,397 X 8시간) X 150%] + [(13,397 X 1시간) X 200%]
  • 지급 수당: 187,558원

시급제 근로자 예시

  1. 통상 시급: 11,000원
  2. 6시간 근무한 경우
  • 산출식: 통상 임금의 250%
  • 계산: (11,000 X 6시간) X 250%
  • 지급 수당: 165,000원
  1. 9시간 근무한 경우
  • 산출식: [8시간 통상 임금의 250%] + [1시간 초과근무 통상 임금의 300%]
  • 계산: [(11,000 X 8시간) X 250%] + [(11,000 X 1시간) X 300%]
  • 지급 수당: 253,000원

임시공휴일 수당 적용 대상

  1. 정규직과 비정규직 구분 없음
    임시공휴일 근무수당은 근로계약서에 따라 근무하는 모든 근로자에게 적용됩니다. 정규직뿐 아니라 계약직, 시간제 근로자도 동일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  2. 주 15시간 이상 근로자
    근로시간이 주 15시간 미만인 초단시간 근로자는 휴일근로수당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. 따라서 주당 근로시간에 따라 적용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임시공휴일 근무수당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

임시공휴일 근무수당은 반드시 지급되어야 하지만, 다음의 경우에는 예외로 처리될 수 있습니다.

  1. 임시공휴일이 유급휴일로 지정되지 않은 경우
    회사 내부 규정이나 근로계약서에서 임시공휴일을 무급휴일로 지정했다면, 근로자에게 수당이 지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.
  2. 단체협약에 따른 별도 규정이 있는 경우
    노사 합의를 통해 수당 대신 대체휴무를 제공하기로 했다면 수당 대신 대체휴무가 제공됩니다.

임시공휴일 대체휴무 제도

근무자와 회사 간 협의를 통해 임시공휴일 근무에 대한 대가로 대체휴무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. 이 경우 근로자는 임시공휴일에 근무한 대가로 다른 날에 유급휴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. 다만, 대체휴무일을 정할 때는 근로자의 동의를 반드시 받아야 합니다.


근로자 권리를 위한 팁

  1. 근로계약서 확인
    임시공휴일에 대한 수당 지급 조건이 명확히 기재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.
  2. 수당 미지급 시 신고 가능
    수당이 제대로 지급되지 않으면 고용노동부에 신고하여 권리를 찾을 수 있습니다.
  3. 노동부 상담 활용
    임시공휴일 수당 지급에 대한 궁금증이 있다면 고용노동부 고객센터(1350)에 문의해 정확한 정보를 확인하세요.

결론

임시공휴일 근무수당은 근로자의 중요한 권리 중 하나입니다. 정부가 지정한 공휴일임에도 근무를 해야 한다면, 근로자는 법적으로 보장된 추가 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. 통상임금을 기준으로 계산하며, 연장근로나 휴일근로 여부에 따라 지급액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. 회사와의 협의 및 계약서를 꼼꼼히 검토하여 권리를 보호하세요.

 

👉 본인 통상임금 계산 해보기 GO->>

 

임시공휴일 근무 수당 FAQ

Q. 임시공휴일에도 휴일근로 수당을 받을 수 있나요?

A. 네, 임시공휴일에도 근무를 했다면 근로기준법에 따라 휴일근로 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.

Q. 수당 미지급 시 어떻게 대응해야 하나요?

A. 수당이 지급되지 않을 경우, 고용노동부에 신고하여 구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. 고용노동부 고객센터(1350)에 문의하세요.

Q. 임시공휴일에도 시급제 근로자와 월급제 근로자 간 수당 차이가 있나요?

A. 네, 시급제 근로자는 유급휴일수당이 별도로 추가되므로 월급제 근로자보다 높은 지급률을 적용받습니다.

 

임시공휴일 근무수당

 

목차